2021 시즌 1 규정 트래커
최종 업데이트: 2021-04-20
여러 가지 논란 끝에 넥슨은 규정을 공개하며 리그 운영에 있어 투명한 정보 공개를 약속했습니다. 이에 시즌 중 규정 변경 사항과 여러 이슈를 이 포스트에 정리하고자 합니다. 주로 제7조 경기 규칙을 다룰 예정이나 필요에 따라 다른 부분도 다룰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도 환영합니다.
시즌 중 변경 사항
2021-04-15
제 7조 라항 8호 개정
개인전/팀전 스피드전 카트바디에 멘티스 X, 쉐퍼 X 추가. 에이스 결정전 또는 1대 1 경기 상황에서 흰 소 X 불허.
2021-02-25
신설: 제7조 마. 팀전 출전 불가 팀 발생 시 대체 선발
마. 팀전 출전 불가 팀 발생
- 팀전에서 대회 참가가 불가능한 팀이 발생한 경우, 아래와 같은 기준에 따라 대체 출전 팀을 선발 하거나 필요에 따라 대체 선발전을 진행할 수 있다.
A. 개막 이전: 출전 불가 팀이 속한 예선 최종 라운드의 차순위 팀을 대체 선발
B. 팀전 8강 경기: 해당 팀의 대진은 경기 여부와 무관하게 모두 실격패 처리
C. 팀전 8강 경기 이후: 직전 라운드의 차 순위 팀을 선발
- 만약 차순위 팀이 복수인 경우, 해당 팀 대표 선수 1인 간 단판 경기를 진행하여 1위 팀을 선발한다.
해당 경기에서 사용할 트랙은 추첨을 통해 결정한다.
신설: 제7조 아. 개인전 출전 불가 선수 발생 시 대체 선발
아. 개인전 출전 불가 선수 발생
- 개인전에서 대회 참가가 불가능한 선수가 발생한 경우, 아래와 같은 기준에 따라 대체 출전 선수 를 선발하거나 필요에 따라 대체 선발전을 진행할 수 있다.
A. 개막 이전: 출전 불가 선수가 속한 예선 최종 라운드의 차순위 선수를 대체 선발
B. 개인전 32강 A~D조 경기 이후: 출전 불가 선수가 속했던 직전 라운드 조의 차 순위 선수를 선발
- 만약 차순위 선수가 복수인 경우, 해당 선수 간 단판 경기를 진행하여 1위 선수를 선발한다. 해당 경기에서 사용할 트랙은 추첨을 통해 결정한다.
수정: 제7조 라 6 D. 결승전 밴픽 어드밴티지
결승전에서는 결승 진출전 승리팀이 밴픽 어드밴티지를 가지는 것으로 변경.
수정: 제7조 라 10. 팀전 풀리그 타이브레이커
종전 승자승→세트 득실→트랙 득실 순서가 단순 오기입이라고 합니다. 다시 세트 득실-트랙 득실-승자승 순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3팀 이상이 승자승을 비교하게 될 확률이 낮아질 뿐 여전히 승자승의 비교 대상과 동률의 일부가 깨졌을 때 재시작 여부에 대한 규정은 필요합니다.
왜 이런 실수가 있을 수 있었던 건지 궁금했는데, 2020 시즌 1 규정을 보니 당시에는 세트 득실-트랙 득실-승자승에 관한 언급 자체도 없었네요.
이슈
규정과 관련된 문제점이나 과거에 알려졌으나 규정에 언급되지 않은 것 등등을 정리합니다.
개인전 16강 패자전의 대체 선수 선발 (2021-04-20)
2021년 4월 20일 이정우 선수가 실격되면서 운영 측은 다음의 규정을 들어 대체 선수를 선발하지 않았습니다.
제 7조 아. 개인전 출전 불가 선수 발생
- 개인전에서 대회 참가가 불가능한 선수가 발생한 경우, 아래와 같은 기준에 따라 대체 출전 선수를 선발하거나 필요에 따라 대체 선발전을 진행할 수 있다. A. 개막 이전: 출전 불가 선수가 속한 예선 최종 라운드의 차순위 선수를 대체 선발 B. 개인전 32강 A~D조 경기 이후: 출전 불가 선수가 속했던 직전 라운드 조의 차 순위 선수를 선발
- 만약 차순위 선수가 복수인 경우, 해당 선수 간 단판 경기를 진행하여 1위 선수를 선발한다. 해당 경기에서 사용할 트랙은 추첨을 통해 결정한다.
출전 불가 선수가 속했던 직전 라운드는 16강 1회전인데 이 경기에서는 탈락자 없이 모든 선수가 패자전 진출이 보장되어 있으므로 선발할 차순위 선수가 없는 것이죠. 이런 경우에는 16강 1회전에서 참가 불가능한 선수가 생겼을 때와 마찬가지로 해당 선수가 16강에 진출한 32강 조에서 대체 선수를 선발한다는 규정을 만들어서 가능한 한 8인을 채울 수 있게 해 두는 편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 대체 선발된 선수가 다른 16강 선수들에 비해 결승전에 올라갈 기회를 한 번 덜 받는 것 외에 다른 불공평한 문제가 생기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단, 16강 패자전의 결원이 16강 승자전의 결원으로 인해 연쇄적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승자전에서 빠진 선수가 16강에 진출한 32강 조의 차순위 선수를 선발해야 공평하겠죠.
팀전 풀리그 타이브레이커 (2021-02-25 관련 규정이 개정되었으나 이 이슈는 해결되지 않음)
현행 규정 (2021-02-25):
제7조 라 10. 8강 풀 리그 종료 후 성적이 같은 경우 최종 순위 결정은 세트 득실→트랙 득실→승자승 순서로 비교하며, 3가지가 모두 동일할 경우 1vs1 에이스결정전 단판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종전 규정:
제7조 라 10. 8강 풀 리그 종료 후 성적이 같은 경우 최종 순위 결정은 승자승→세트 득실→트랙 득실 순서로 비교하며, 3가지가 모두 동일할 경우 1vs1 에이스결정전 단판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여전히 승자승에서 승패만 비교하는지, 아니면 세트 득실-트랙 득실도 비교하는 지 명시할 필요가 있으며 동률의 일부분이 깨졌을 때 나머지 동률을 처리하기 위해 기준을 처음부터 다시 비교할 지, 아니면 다음 기준으로 넘어갈 지에 대한 언급이 필요합니다.
관련 포스트 참조. (승자승 우선이었을 때에 관한 이전 포스트)
개인전 트랙 선택 및 트랙 동률 처리 (2021-02-25 수정)
제7조 바 2. 개인전은 스피드전으로만 아래 10개 트랙에서 진행된다. (트랙 목록 생략)
A. 모든 경기의 1트랙은 1번째 명시된 트랙을 고정 트랙으로 사용하며, 2트랙부터는 직전 라운드에서 1위를 차지한 선수가 트랙을 선택한다.
B. 단, 결승전의 2세트는 1세트에서 1위를 차지한 선수가 지정하며, 2트랙부터는 직전 라운드에서 1위를 차지한 선수가 트랙을 선택한다.
C. 재경기 트랙은 추첨으로 진행한다.
D. 경기의 포인트는 1위부터 순서대로 10PT/ 7PT/ 5PT/ 4PT/ 3PT/ 1PT/ 0PT/ -1PT를 부여하며, 리타이어의 경우 -5PT를 부여한다.
- 규정집 여기저기에 구멍이 있을 것은 예상하고 있었지만 가장 놀란 부분은 A항과 B항입니다. 직전 라운드에서 1위를 차지한 선수가 선택할 수 있는 트랙이 해당 경기에서 그때까지 가장 적게 사용된 트랙들로 한정된다는 내용이 없습니다. 리그 진행의 기본이 되는 내용조차 규정에 빠져 있으면 곤란하죠.
- 여러 선수의 완주 시간이 소수점 3자리까지 동일할 경우 처리 방법에 관한 내용이 필요합니다. 그동안은 상위 점수를 부여해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동률 1위의 경우 누가 트랙 선택권을 갖는지에 대한 언급이 필요합니다.
- 2020 시즌 1 제4조 나 2. 5) 규정은 트랙 동률 1위의 경우 에이스 결정전 방식의 재경기를 진행하여 트랙 선택권을 결정한다는 것인가요?
개인전 누적 포인트 동률 처리 (2021-02-25 수정)
제7조 바 4. 경기 종료 이후 두 선수의 점수가 동률일 경우 최종순위의 처리 방식은 다음과 같다.
A. 1위와 2위의 완주 시간이 소수점 3자리까지 동일할 경우 해당 선수간에 1vs1 재경기를 실시한다.
B. 1위와 2위를 제외한 선수들의 경우 점수가 동률일 경우에는 재경기를 진행하지 않는다. 단, 상위 라운드 진출과 탈락을 위한 순위 결정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해당 선수 간에 1vs1 재경기를 실시한다.
- A항의 “완주 시간”이 어떤 의미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2020 시즌 1 규정과 비교했을 때 트랙 동률 처리에 관한 내용이 여기로 잘못 들어온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 여러 순위에서 동률이 발생할 경우(예: 32강에서 공동 3위와 공동 5위) 재경기 진행 방식에 대한 내용이 필요합니다. 예전에 김대겸 해설위원이 개인 방송에서 공동 3위와 공동 5위를 한 선수들이 한 트랙에서 동시에 달린다는 언급을 한 적이 있는 것으로 기억하는데, 규정에는 관련 내용이 없네요.
팀전 포스트시즌 결승진출전 업셋 후 결승전 재경기. 밴픽 어드밴티지는 누가? (2021-02-25 해결)
제7조 라 6 D. 포스트시즌 경기는 8강 풀리그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한 팀이 먼저 사용할 트랙을 1개 선택한 이후, 낮은 순위를 기록한 팀부터 사용하지 않을 트랙을 1개씩 제외하고, 동일 순서로 사용할 트랙 5개를 교차 선택한 뒤 고정 트랙을 포함하여 총 7개의 트랙을 사용한다. 예시) 상위 팀 A팀인 경우 -> A픽(2번째 트랙) / B밴 / A밴 / B픽(3번째 트랙) / A픽(4번째 트랙) / B픽(5번째 트랙) / A픽(6번째 트랙) / B픽(7번째 트랙)
지난 시즌에 이 블로그에서 언급한 적이 있는 내용입니다. 지금 카트리그가 사용하고 있는 포스트시즌에서 상위 팀에게 어드밴티지를 준다고 하면 보통 결승전에서는 결승진출전 승리팀이 어드밴티지를 갖는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하지만 넥슨이 처음 만든 규정은 8강 풀리그 순위에 따라서만 밴픽 어드밴티지가 결정되게 했습니다(김대겸 해설위원 유튜브에서의 관련 내용 첫 언급, 2020.10.5.). 결승 진출전에서 풀리그 2위팀이 이긴 후 풀리그 1위팀이 이후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해 결승에 진출하면 밴픽 어드밴티지를 결승진출전에서 패했던 풀리그 1위팀이 갖게 되는 룰이었죠. 이 문제를 인지한 운영 측은 8강이 종료되기 전에 모든 팀에게 이런 경우 결승진출전 승리팀이 밴픽 어드밴티지를 갖는 것으로 공지를 했다고 합니다(제1조 다.). 하지만 이 때 규정집 본문을 수정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고 그 수정되지 않은 본문이 그대로 이번 시즌으로 넘어왔습니다. 운영 측은 이 부분을 다시 한 번, 이번에는 투명한 방법으로 손봐야 할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