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 타이브레이커 (2)

상당한 진통 끝에 넥슨이 드디어 본선 규정을 공개했습니다. 이전에 이 블로그에서는 정확한 규정을 모르는 상황에서 타이브레이커에 대해 다룬 적이 있었는데, 이번에는 공개된 규정을 바탕으로 논의해 봅시다. 그런데 규정이 공개되고 나서도 명확하지 않은 부분들이 있습니다.

  • 2021-02-25: 팀전은 세트득실-트랙득실-승자승 순으로 원상복구되었습니다. 승자승 관련 규정은 여전히 명확하지 않으며 기존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팀전

제7조 라 10. 8강 풀 리그 종료 후 성적이 같은 경우 최종 순위 결정은 승자승→세트 득실→트랙 득실 순서로
비교하며, 3가지가 모두 동일할 경우 1vs1 에이스결정전 단판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이번 시즌에는 여러 팀의 승패가 같은 경우 승자승이 세트 득실과 트랙 득실보다 우선적으로 고려됩니다. 카트리그는 무승부가 없는 싱글 라운드-로빈이니 세트 득실과 트랙 득실은 3팀 이상의 동률이 있을 때만 의미가 있게 되죠. 그런데 3팀 이상의 동률이 있을 때 승자승 처리 방식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승자승의 의미는 동률 팀간의 전적을 비교한다는 것인데 이것이 승패만을 고려하는지 아니면 세트 득실과 트랙 득실도 고려하는지가 언급되어 있지 않죠. 그리고 중간에 일부 동률이 깨졌지만 나머지 팀 간에 동률이 있을 때 타이브레이커를 처음부터 새로 적용할 지, 아니면 다음 단계로 그대로 진행되는 지도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부분에 대한 언급이 없으면 지난 번 논의에서처럼 같은 규정을 놓고 여러 가지 해석의 여지가 생겨서 논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이번 시즌에는 세 팀 이상의 승패만 같으면 곧바로 승자승을 비교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언급은 중요합니다.

지난 번과 비슷한 시나리오를 한 번 보죠. A, B, C, D 네 팀의 풀리그 예시입니다.

팀 1 팀 2 스피드 아이템 에이스 결정전
A B 3-0 0-3 1-0
C D 3-0 3-0 -
B C 3-1 0-3 1-0
D A 2-3 2-3 -
A C 2-3 3-0 0-1
B D 3-0 3-0 -

이 때 네 팀의 승패, 세트 득실, 트랙 득실은 다음과 같습니다.

승패 세트 득실 트랙 득실
A 2-1 +2 +4
B 2-1 +2 +5
C 2-1 +2 +5
D 0-3 -6 -14

또, A, B, C 세 팀 간의 전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승패 세트 득실 트랙 득실
A 1-1 0 +2
B 1-1 0 -1
C 1-1 0 -1

이 때 D가 4위인 것은 명확한데, 나머지 세 팀 사이의 순위는 승자승 적용 시 승패만 고려하는 지 아니면 세트 득실과 트랙 득실도 함께 고려하는지, 한 팀이 동률에서 빠져나왔을 때 나머지 두 팀 간의 비교에서 기준을 첫 번째 기준부터 다시 적용하는 지, 아니면 다음 기준으로 넘어가는 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집니다.

  • 승자승에서 승패만 고려하는 경우
    • 승자승에서는 3팀 동률인 채로 전체 세트/트랙 득실로 넘어가게 됩니다. 전체 트랙 득실에서 A팀이 밀리므로 3위가 되고 B, C 팀은 전체 트랙 득실이 같으므로 둘의 동률을 처리해야 합니다.
      • 두 팀의 비교를 위해 첫 번째 기준인 승자승부터 다시 적용한다면 B 팀과 C 팀간의 경기에서 B 팀이 승리했으므로 B 팀이 1위, C 팀이 2위가 됩니다.
      • 다음 기준으로 넘어가는 경우, B 팀과 C 팀 간의 에이스 결정전이 벌어지게 됩니다.
  • 승자승에서 세트 득실과 트랙 득실도 고려하는 경우
    • 세 팀간의 전적 상 트랙 득실에서 A 팀이 앞서므로 A팀이 1위가 되고, B, C 팀은 동률 팀간 트랙 득실이 같으므로 둘의 동률을 처리해야 합니다.
      • 두 팀의 비교를 위해 승자승을 처음부터 다시 적용한다면 B 팀과 C 팀간의 경기에서 B 팀이 승리했으므로 B 팀이 2위, C 팀이 3위가 됩니다.
      • 다음 기준으로 넘어가는 경우, B, C 두 팀의 전체 세트 득실, 트랙 득실이 같으므로 두 팀의 에이스 결정전이 벌어지게 됩니다.

지금 있는 규정으로는 이 리그 결과에 대해 서로 다른 네 가지 해석이 가능합니다. 이 주최 측에서는 이 부분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개인전

제7조 바 4. 경기 종료 이후 두 선수의 점수가 동률일 경우 최종순위의 처리 방식은 다음과 같다.
    A. 1위와 2위의 완주 시간이 소수점 3자리까지 동일할 경우 해당 선수간에 1vs1 재경기를 실시한다.
    B. 1위와 2위를 제외한 선수들의 경우 점수가 동률일 경우에는 재경기를 진행하지 않는다. 단, 상위 라운드 
진출과 탈락을 위한 순위 결정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해당 선수 간에 1vs1 재경기를 실시한다.

A항, 1위와 2위의 결정 부분은 2019 시즌 2 32강 패자부활전(타이브레이커 문서 참고) 당시와 달라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완주 시간에 대한 언급이 어느 트랙의 완주 시간인지, 전체 기록 총합을 이야기하는 것인지, 아니면 그냥 잘못 적혀 있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어쨌든 앞으로 8인전 1위에서 동률이 생기면 에결을 볼 가능성이 있겠네요. 오로지 카트걸과의 인터뷰와 승자예측 보상만이 걸려 있는 에결!

나머지 동률의 처리에 관한 규정은 존재하지 않고, 지난 시즌에는 1위나 다음 라운드 결정이 필요하지 않은 동률은 공동 순위로 방송에 내보냈습니다. 아무리 동률이라도 다음 라운드 페인트 배치 우선 순위는 정해야 할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생기긴 하지만 선수들의 페인트 배치에 대한 내용은 규정에서 정하고 있지 않으니 굳이 여기서 이 부분에 대해 논하진 않겠습니다.

Written on February 19, 2021